시공 계획서 작성 방법

게재월 | 2010 - 07 조회10353 추천0

목록으로 글자확대하기 글자축소하기

공사 착공 시에는시주·감리 측에서 시공 계획서를 제출해 달라고 요구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공사 응찰 시에 종합 시공 계획서의 제출을 요구하기도 한다. 여기서는 전기설비공사를 원청 수주한 경우 작성한 모범 시공 계획서의 일례로 (사)일본전설공업협회에서 발행한 ‘시공 계획서 작성’에 기재되어 있는 시공 계획서 작성의 의의와 필요성 및 그 종류와 작성 시기 및 구체적인 사례의 일부를 소개한다.


시공 계획서란


(1) 의의와 필요성
시공 계획서는 공사에 착수함에 있어서, 청부업자가 소정의 공기 내에 안전하게 시공 품질을 확보하고 공사를 원활하게 추진하는 시공관리 방침을 정하고 그에 필요한 시공체제·품질관리·안전 위생관리·환경관리·가설계획 등을 토대로 각종 공사 항목별로 실제의 시공 절차·공법·법의사항·관리시트를 기재한 공종별 시공계획으로 분류해 작성하고 감리 감독자에 제출, 승낙을 얻는 것이다.
계획서를 작성할 때 간혹 시공계획서 작성이 사양서에 기재되어 있기 때문이라던가 회사의 규칙이라던가 그 순간을 일단 벗어나려고 의의나 목적 등을 제대로 이해하지 않고 단지 작성하면 된다는 개념으로 작성하는 상황을 본다.
시공 계획서는 청부업자(현장 대리인)에게 있어서 자신의 현장을 어떻게 시공할지에 대한 뜻을 고객에게 전달하는 것이다.
한편 감리 감독자는 시공자 측에서 작성한 시공 계획서를 보고 청부업자·현장 대리인의 능력·적합 여부를 평가하는 기준으로 삼고 있다.
최근에는 내진 위장문제, 자동차, 전기기기류의 리콜 문제, 식료품 표시 개조 문제 등 많은 품질에 관한 불량이 회사 문제가 되고 있으며 이들 문제를 일으킨 기업은 사회적 제재를 받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도산에 이르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품질보증·확보는 기업에 따라서 가장 중요한 항목이다.
그에 대한 대응책으로서 각사 모두 자사에서 품질 매니지먼트 시스템을 확립하고 자주관리체제를 강화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고객은 ‘좋은 물건을 저렴하고’  ‘공기는 짧게’ 를 요구하고 있어 업계의 입장은 매우 어렵다.
위의 명제를 수렴해 현장 담당자는 공기 내에 안전하게 품질을 확보해서 수익을 얻기 위한 시공관리업무를 수행해 가야 한다.
그러려면 사내 품질 매니지먼트 시스템에 기초해 공사 착수 전에 설계 도서류를 잘 검토하고 고객의 요구사항을 파악·문제점을 추출한 후에 실행 계획인 시공 계획서를 작성할 필요가 있다. 또 시공 과정에서 계획서대로 일이 진행하고 있는지를 체크,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서 계획을 재검토하는, 즉 시공관리 전체를 하나의 사이클로 생각하고 항상 PDCA를 전개시켜 시공 계획서를 재검토하는 것이 중요하다.


(2) 작성 목적
현장 대리인은 공사 착수에 임해서 설계도·질의 응답서·제 관청 타협 의사록·공사 사양서 등을 보고 공사 내용을 파악, 또 건축공사 실시공정·가설 계획·현장 작업 룰을 고려해 시공 체제·주요 기기 반입 계획·안전 활동계획·시험검사 계획을 입안하여 조정한다.
이상의 조정 결과를 정리하고 하기 목적을 들어 고객에게 안전과 품질 보증을 약속하는 동시에 현장 대리인 및 회사로서 해당 공사에 대한 의지를 전달하기 위해 작성한다.
① 안전작업 하에 공사를 수행하기 위해
② 공사 개요를 포함해 공사 범위 확인을 수행하기 위해
③ 시공 기준을 만들기 위해
④ 시험검사 기준을 만들기 위해
⑤ 시공 효율을 높이기 위해
⑥ 제 관청의 신고·제 검사를 타이밍 적절하게 실시하기 위해


(3) 종류와 내용
시공 계획의 내용을 공정적으로 본 순서로 크게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① 착공 시에 필요한 계획
건축 개요와 전기설비 개요, 가설 계획, 시공방침, 시공관리 계획, 안전위생관리 계획, 검사 계획, 인도 계획 등 공사의 기본 계획을 기술하는 것으로 종합 시공 계획서가 해당한다.
② 시공 시에 필요한 계획
접지극 매설공사, 슬리브·인서트공사 등 실제로 시공하는 데 임해 필요한 것으로 설계도에 나타낼 수 없는 시공 요령을 기술하는 공종별 시공 계획서에 해당한다.
또한 개수공사에서는 후타 앵커 작업 수순서, 전기 전환작업 수순서, 구멍뚫기·작업 수순서 등이 해당한다.
③ 준공 시에 필요한 계획
송전 계획, 최종검사 계획, 시운전 계획, 인도 계획, 거래설명 계획 등의 품질보증 및 준공 시, 고객에게 제출해야 하는 서류를 확인하는 것으로 종합 시공 계획서에 해당한다.


(4) 종합 시공 계획서
① 목적
종합 시공 계획서는 현장 대리인이 무엇을 기준·근거로 어떻게 현장을 시공할 건인지에 대한 시공관리방침을 설명하는 것이 목적이다.
때문에 현장 대리인은 계약서, 설계도, 질의 응답서, 설계 계산서 등을 이해하고 자사 내에서 조정을 거쳐 건설업자 및 설비업자의 담당자와도 타협을 충분히 거친 후 공사 전체에 걸친 기본적인 시공관리방침 및 개념을 정리해 작성하고 공사 감독자에게 제출한다.
② 항목
여기서는 각사가 작성하고 있는 계획서의 항목을 참고로 해서 표 1의 6항목으로 했다.


▲표 1. 종합 시공계획서의 항목과 작성 시기


(5) 공종별 시공 계획서
① 목적
공종별 시공 계획서는 시공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기본적 룰, 디테일, 관리기준 등을 작성하고 공사 감독자의 확인을 얻는 것이 목적이다.
즉 배관 및 배선 등 각 공사 항목의 공통이 되는 공법에서, 표현하기 어려운 내용에 대해 디테일과 그림·표 등을 이용해서 현장의 기준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추상적으로 표현되어 있는 사양서, 설계도의 기재 내용을 구체적으로 나타내고 공사 감리자 및 실제의 시공에 종사하는 작업자에게 설명, 이해를 받으므로 각 시공 요령서와 같다.
② 항목
해당 공사에 필요한 공사 항목에 대해 대략 공기와 링크한 순으로 표 2의 17항목으로 했다.


▲표 2. 공종별 시공 계획서의 항목과 작성 시기


(6) 작성 시기
① 종합 시공 계획서
종합 시공 계획서는 설계도 등 관계 도서류 및 건축 공정표·가설 계획·현장의 룰 등을 파악하고 착공 시에 공사 개요·안전관리계획에서 가설계획 까지를 항목별로 작성하는 것이다. 그러나 시공이 진행함에 따라 각 계획서를 보다 구체적으로 추기 변경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에 참고로서 대강의 작성 시기를 표 1에 나타냈다.
② 공종별 시공 계획서
공종별 시공 계획서는 종합 시공 계획서와 달리 공사에 착수하기 전에 설계도 등에 명시되어 있지 않은 시공상 필요한 사항을 나타낸 것을 작성하고 고객에게 제출해서 승낙을 얻는다. 이 계획서는 작업 내용 및 수순을 각 작업자에게 철저히 주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해 그 공정에 따라 작성하고 공사 완료 시에 모든 공종별 시공 계획서가 완성된다.
참고로서 대략의 작성 시기를 표 2에 나타냈다.


시공 계획서 작성 예


여기서는 종합 시공 계획서 및 공종별 시공 계획서의 구체적인 기재 예를 소개하지만 지면상 일부분이다. 한편 (사)일본전설공업협회가 발행하는 「신편 전기설비공사 시공 계획서 작성」에는 구체적인 기재 예가 모두 기술되어 있으므로 꼭 참고하기 바란다.


(1) 종합 시공 계획서
종합 시공 계획서의 구체적 사례로서 1. 일반사항의 예를 그림 1에 소개한다.


▲그림 1. 종합 계획서의 구체적 사례(1. 일반사항의 예)

 

▲그림 1. 종합 계획서의 구체적 사례(1. 일반사항의예) 계속



(2) 공종별 시공 계획서
공종별 시공 계획서의 구체적 사례로서 11. 기기 설치공사 시공 계획서의 예를 그림 2에 소개한다.


▲그림 2. 공종별 시공계획서의 구체적 사항(11. 기기설치 공사 시공계획서의 예)


맺음말


시공 계획서는 시공에 임해 현장 대리인이 설계 도서류를 숙독하고 어떻게 현장을 관리하는가, 방침 및 의지를 시주·감리 측에 전달하는 중요한 것이다.
시주·감리 측은 제출된 시공 계획서를 보고 현장 대리인 및 시공회사를 평가하고 있다.
현장 대리인에게 있어서는 착공 시는 매우 다망한 시기지만 상기의 일을 염두에 두고 자신 나름의 시공 계획서를 작성·실행해서 안전하고 고품질의 전기설비를 고객에게 인도하기 바란다.


마쓰모토 카츠미(松本 克己)
산키(三機)공업


本 記事는 日本OHM社가 發行하는「電氣と工事」誌와의 著作權協約에 依據하여 提供받은 資料입니다.

목록으로

게재월 | 2010 - 07 조회 10353 추천 0

기사 미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