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로고
책갈피 추가
페이지

SANDAN NEWS 전북대학교가 ‘캠퍼스 혁신파크’ 사업에 최종 선정됐다. 전북대학교는 대학 내 첨단산 업단지 조성을 통해 지역발전의 플랫폼 역할을 하게 된다. 이 사업은 대학 유휴 부지를 도시첨단산업단지로 조성하고, 기업 입주시설과 창업지 원시설, 주거 및 문화시설 등을 마련, 정부 프로그램을 종합 지원해 지역 혁신 생태계 를 조성하는 교육부, 국토교통부, 중소벤처기업부 3개 부처 공동 공모사업이다. 이번 선정에서는 모두 17개 대학이 제안서를 제출해 8.5대 1의 경쟁을 뚫고 전북대와 창원대 등 2개 대학이 선정의 영예를 안았다. 이에 따라 전북대는 구정문 및 실내체 육관 일대에 부지면적 3만6580㎡ 1단계 2만5516㎡, 2단계 3537㎡, 3단계 7527㎡ 에 총 사업비 1110억원을 투입해 올해부터 2030년까지 3개 단계로 나눠 순차적으로 사 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올해 착수하는 1단계 사업인 산학연 혁신허브 연면적 2만2300㎡ 건립 사업은 2026 년 입주를 목표로 사업비 510억원 국비 190억원, 도비 40억원, 시비 40억원, LH 240 억원 을 투입해 문화콘텐츠, ICT, 바이오융복합을 중심으로 기업 입주공간과 연구소, 기업종합지원센터 등의 복합공간으로 구성할 계획이다. 1단계 사업은 메타버스 중심 첨단 디지털 문화콘텐츠산업의 기반을 조성하는 전주시 도시재생뉴딜사업 I-TOWN 과 연계해 개발할 예정으로, 미래 산업 육성 및 지역발전 동력의 거점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이달 중 산업단지계획 수립을 위한 행정절차를 시 작으로 내년 하반기에 계획수립을 완료해 도시첨 단산업단지로 지정하고, 산학연 혁신허브 건립 공 사를 착공해 2026년에는 준공 및 입주할 수 있도록 추진할 방침이다. 캠퍼스혁신파크 사업 단장인 조기환 연구부총장 산 학협력단장 과 추진단장인 홍철운 처장 산학협력처 장 은 “전북대학교 캠퍼스 혁신파크가 성공적으로 실현될 수 있도록 산업단지계획 수립 및 산학연 혁 신허브 건립 등에 있어 중앙부처, 지자체와 긴밀히 협력해 사업성과가 조기에 창출될 수 있도록 최선 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캠퍼스혁신파크사업은 2019년 캠퍼스 혁신파 크 조성 방안 발표 이후 그 해와 지난해 공모를 통 해 총 5개 대학이 사업지로 선정된 데 이어 올해 세 번째 공모를 통해 전북대 등이 선정됐다. 전북대, 캠퍼스에 첨단산업단지 조성…혁신파크’ 사업 최종선정60

페이지
책갈피 추가

i-CONNECTED 대전시는 하절기 북대전 지역 악취 민원에 신속하게 대처하기 위해 ‘24시 악취종합상 황실’을 본격 운영한다고 밝혔다. 시와 자치구는 악취 민원이 집중되는 6월부터 10월까지 5개월 간 유성구 봉산동 지 역에 악취종합상황실을 설치하고, 악취 영향이 심해지는 새벽과 야간 시간대 악취 민 원에 신속하게 대처해 나갈 계획이다. 악취상황실은 2019년부터 환경부서 담당 공무원으로 구성해 밤부터 다음 날 아침까 지 악취 영향 지역을 순찰하며 매년 100여건의 악취 민원을 처리하고 있다. 악취피해 신고는 주간에는 환경부서로 하면 되고, 야간과 새벽에는 구청 당직실에서 불편사항에 대한 신고를 받고 있다. 아울러, 이 기간 동안 산업단지와 인근지역 악취 민원이 우려되는 사업장과 악취 유 발 예상 지역에 대해서는 이동형 대기오염 측정차량운영도 병행할 예정이다. 대전시 전재현 환경녹지국장은 “북대전 지역은 산 업단지와 환경기초시설이 밀집되어 있어 여름철 새 벽 시간에 악취로 인한 불편사항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며 “하절기 악취종합상황실을 내실 있게 추진 하여 시민 불편 해소와 쾌적한 대전 만들기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대전시는 전문 인력을 활용한 ‘악취저감 컨설 팅’, 산업단지 및 인근지역 악취관리를 위한 ‘악취 관리시스템 설치 및 운영’, 노후방지시설 개선을 위 한‘소규모 사업장 방지시설 설치지원 사업’ 등 다양 한 악취저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대전시, 산업단지 악취 24시간 신속처리 상황실 가동 ▲ 대전 시청61

탐 색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