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로고
책갈피 추가
페이지

6 Industry Update ST, 0.5메가픽셀 3D 심도 이미지 센서 출시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이하 ST 가 스마 트폰 및 기타 기기에 첨단 3D 심도 이미징 을 제공하는 새로운 고해상도 ToF Timeof-Flight 센서 제품군을 발표했다. 센서는 50만개 이상의 포인트로 거리를 측정하여 3차원 표면을 매핑한다. 센서에 서 최대 5미터까지 물체를 감지하며, 패턴 조명을 사용하면 더 먼 거리의 물체까지 감지할 수 있다. 첫 제품인 VD55H1은 룸 매핑, 게임, 3D 아 바타 등 새로운 AR/VR 시장의 적용사례 를 구현한다. 이 센서를 스마트폰에 적용 하면 보케 효과 Bokeh Effect , 다중 카메라 선택, 비디오 분할 등 카메라 시스템 기능 의 성능을 향상시켜준다. 또한, 더 높은 해상도와 더 정확한 3D 이 미지로 얼굴 인증 보안을 개선함으로써 전화 잠금해제, 모바일 결제를 비롯해 안 전한 거래 및 액세스 제어와 관련된 모든 스마트 시스템을 보호할 수 있다. 로보틱 스의 경우, VD55H1은 모든 대상 거리에 대해 높은 충실도로 3D 장면 매핑을 제공 해 새롭고 더 강력한 기능을 구현하게 해 준다. VD55H1과 같은 iToF 센서는 반사된 신호 와 방출된 신호 사이의 위상 변이를 측정 해 물체까지의 거리를 계산한다. 이는 전 송된 신호가 센서에 다시 반사되는 시간 을 측정하는 dToF 센서를 보완하는 기술 이다. ST는 광범위한 첨단 기술 포트폴리 오를 통해 고해상도 dToF 및 iToF 센서를 설계하고, 애플리케이션 요건에 부합하는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한다. 자체 40nm 적층 웨이퍼 기술을 활용하 는 VD55H1는 독보적인 픽셀 아키텍처와 공정 프로세스로 저전력 소모, 저잡음, 최적화된 다이 면적을 보장한다. 이 다이 는 더 작은 다이 크기에서 기존 VGA 센 서에 비해 75% 더 많은 픽셀을 포함하고 있다. VD55H1 센서는 현재 선도 고객들에게 샘 플로 공급되고 있으며, 대량생산은 2022 년 하반기에 진행될 예정이다. 레퍼런스 디자인과 전체 소프트웨어 패키지도 제공 되므로 센서 평가 및 프로젝트 개발을 가 속화할 수 있다. 2021 5 제10호 발행일 2021년 5월 25일 화 ㅣ 발행인 사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 이진원 회장 ㅣ 주소 경기도 광명시 소하로76번길21 소하람1차 202호 ㅣ 전화 02-897-5758 INSIDE | 25면 회원사 소식 69면 스페셜 리포트 1016면 마켓 트렌드 1729면 기술기고 3038면 신제품신기술 기존의 머신비전 시스템은 일관 적이고 규칙적으로 제조된 부품에 서 안정적으로 작동했다. 그러나 예외적인 상황이 점점 늘어나고 결 함의 유형이 다양해지면서, 적합한 검사 진행에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배율, 회전, 배치, 왜곡 등으 로 인해 부품 외형이 약간 변동되는 것 정도는 머신비전 시스템으로 검 사할 수 있지만, 복잡한 표면 텍스 처와 이미지 품질 문제는 더욱 복잡 하고 까다로운 검사가 요구된다. 머신비전 시스템 은 시각적으로 매 우 비슷한 부품끼 리의 변동성과 편 차를 감정하는데 적합하지 않은 경 우가 있다. 부품의 유틸리티에 영향을 미치는 ‘기능적’ 이 상 현상은 대부분 은 승인 거부의 원 인이 되지만, 성형 측면의 이상은 제 조업체의 요구나 선택에 따라 거부 원인이 되지 않을 수 있다. 가장 큰 문제는 기존 머신비전 시스템으로 는 이런 결함을 구별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딥러닝 이미지 분석은 이런 상황 의 대안이 될 수 있으며, 제조업을 포함한 산업 전 영역에서 공장자동 화의 기회를 열어주고 있다. 딥러 닝에 기반한 이미지 분석은 육안 검사의 정교함과 유연성에 컴퓨터 시스템의 신뢰성, 일관성, 속도를 결합한 형태다. 이는 기존 머신의 접근 방식으로는 유지 관리를 거의 할 수 없었던 까다로운 비전 애플리 케이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딥러닝 모델은 허용 범위 를 초과하는 실제 결함을 검출하 고, 학습을 통해 많은 변형을 거친 복잡한 패턴을 찾아내는 작업을 동 시에 수행할 수 있다. 코어 알고리 즘을 다시 프로그래밍하지 않아도 새로운 예시에 맞게 바로 조정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부품의 위치 파 악, 검사, 분류, 문자 인식 과제 등 을 육안 검사나 기존 머신비전 솔루 션보다 더욱 효과적으로 해낸다. 이런 장점들로 매우 복잡한 자동 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딥러닝에 기반한 솔루션과 인공지능으로 시 스템을 접목한 소프트웨어가 지속 적으로 출시되고 있다. SLG-150V-NIR LED Fiber 용 Source ㆍ 투과 검사에 최적화된 스펙트럼 ㆍ 30,000 시간의 수명 850nm 940nm ㆍ 조사열이 적어 열로 인한 손상을 경감 ㆍ 열악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광 출력 ㆍ CE 인증 850 nm 940 nm 1060 nm 1100 nm www.fainstec.com Spectrum 복잡하고 까다로운 검사 요구사항에 적합한 딥러닝 결합한 소프트웨어 경쟁 치열 딥러닝 결합된 머신비전 소프트웨어를주목하라

페이지
책갈피 추가

Machine Vision & Imaging | 2022•4 7 트윔, 식품 및 디스플레이 비전시스템 기반 제작 설비 수주 인공지능 머신비전 검사 전문기업 트윔이 약 18억 원에 해당하는 삼성디스플레이 베 트남 법인의 비전 시스템 개조 프로젝트 를 1차 협력 업체들로부터 수주했다고 밝 혔다. 트윔은 SDC의 독보적인 EP Exclusive Partner 로서 반도체, 디스플레이 공정에 머신비전 표준화를 국내 최초로 도입 및 주도하고 있으며, 인공지능 비전 소프트웨 어인 MOAI와 국내 최초 통합 인공지능 딥 러닝 검사장비인 T-MEGA를 결합하여 다 양한 제조 공정을 위한 공장자동화를 구 축하고 있다. 트윔의 담당자는 이번 프로젝트가 기존 거래의 확장임을 밝히며, 아울러 해외 시 장을 확장할 수 있는 신호탄으로 여겨 이 기세를 몰아 해외법인인 인도에도 실질적 인 성과가 나타날 수 있도록 인력 투자와 기술 개발에 더욱 매진할 계획이라고 말 했다. 이와함께 트윔은 오뚜기의 이물 검사를 위해 인공지능 검사 설비도 수주했다. 트윔은 이번 프로젝트의 주요 이슈였던 난반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객 환경 과 대상에 맞는 광학 컴포넌트를 개발하 였고 그 결과 난반사로 취득하기 어려웠 던 이미지를 검사하기 용이한 해상도로 이미지 취득에 성공했다. 이로써 오뚜기는 국내 최초 인공지능 식 용유캔 내부 검사 설비로 완벽한 이물 검 사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트윔의 김민준 대리는 “먹거리에 대한 안전과 신뢰는 식품업체에 아주 중요한 부분”이라며 “이를 실현하는 데에 이바 지하게 되어 기쁘게 생각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스페셜리포트 Special Report 8 사 한국머신비전산업협회보 2021·5 9 을 적용하면 이미지 내에서 사람의 육안으로는 판별이 어려운 2픽셀 크기의 초미세 결함까지도 검출할 수 있다. ‘카이어 비전 소프트웨어’ 는 인공지능 비전문가도 전문가에 준하는 수준으로 딥러닝 모델을 학습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 는 학습 조건을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GUI 를 통해 쉽게 설정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기존의 딥러닝 머신비전 기술을 적용하면 일정 크기 이상의 객체 에서만 정확한 검출이 가능했다. 하지만 초미세 단위의 제조 과정을 필요로 하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식음료 등에서는 정확한 결함을 검 출하는 것에 한계가 있었다. 카이어는 이러한 초미세 크기의 결함을 검출하기 위해, 이미지 내 에 존재하는 매우 작은 크기의 객체 특징을 분석할 수 있는 독자적인 머신비전 기술을 개발했다. 이를, ‘카이어 비전 소프트웨어’에 탑재하 고 국내 대기업의 제조 라인에 적용하여 검증을 완료하였다. 또한 해 당 기술은 철도, 도량, 발전 시스템 등의 사회 인프라 운영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이상 상태를 검출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도 적용할 수 있다. ‘카이어 비전 소프트웨어’에 탑재된 초미세 크기 결함 이미지 분석 기술은 이미지 외의 다른 형태의 데이터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카이 어는 초미세 결함을 검출하는 머신비전 기술을 빅데이터 분석 분야 에 확대 적용하여 예지 보전 등의 분야로 사업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카이어 이교혁 대표는 “인공지능 기술은 2010년대 중반 이후 급격 한 진보에 기반하여 기술의 완성도가 과거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 로 발전되었다”고 말하며, “하지만 인공지능 기술이 모든 것을 해결 해 줄 수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인공지능 기술이 해결할 수 있는 문제는 여전히 제한적이며, 성공적인 인공지능 기술 도입을 위해서 는 카이어와 같은 문제 해결의 전체 과정에 동반하는 전문가와 함께 해야 한다”고 전했다. SK㈜ C&C, 아이팩토리 스마트 비전…AI 탑재한 범용솔루션 사람의 눈으로 잡지 못하는 마이크로미터 ㎛ 픽셀 단위의 미세한 차이도 찾아내는 ‘AI 눈’이 나왔다. SK㈜ C&C는 지난 2월 3일, AI를 탑재한 범용 솔루션 ‘아이팩토리 스마트 비전 I-FACTs Smart Vision ’를 공개, 본격 확산에 나선다고 밝혔다. SK㈜ C&C 아이팩토리 스마트 비전은 화면의 최소 단위 픽셀을 읽 어내고, 읽은 정보를 빠르게 학습하는 능력을 가진 범용 AI 패키지 솔 루션이다. ◀ 딥테크 AI 스타트업 ‘카이어’에서 출시한 ‘카이어 비전 소프트웨어 패키지’ 이미지 202105.indd 8 2021-05-27 오후52538

탐 색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